본문 바로가기
군대/경제

[경제] 24년 4월 2일

by BrickSky 2024. 4. 2.

1. 경제 10분 공부 내용

1-1. 기사 제목

물가 오른만큼 지원금 뿌리면, 모두 金사과 사먹을 수 있을까

 

물가 오른만큼 지원금 뿌리면, 모두 金사과 사먹을 수 있을까

물가 오른만큼 지원금 뿌리면, 모두 金사과 사먹을 수 있을까, 유승호의 경제야 놀자 사과 한 개 1만원 가까이 치솟아 野, 1인당 25만원 지급 등 공약 기본소득으로 물가 잡는다? 지원금 뿌린만큼

www.hankyung.com

 

 

1-2. 내용 한줄 요약

물가 상승을 대비하기 위한 전략으로 통화량을 늘리는 것은 되려 물가 상승을 초래한다.

 

1-3. 간단한 내 생각

물가가 오른 만큼 소득도 늘어나야 한다는 주장은 지극히 타당해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는 늘어난 소득이 물가를 더 밀어 올린다. 생산성 향상이 뒷받침되지 않은 인위적인 임금 인상과 무분별한 돈 풀기라면 더욱 그렇다.

모두의 소득이 증가함으로인해 구매력이 향상되고 이는 물가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생산성 향상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더 안 좋은 상황을 초래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소득 증가도 증가지만, 생산성 향상이 함께 진행되어야 원하는 경기 안정을 가져올 수 있을 것 같다. 

 

이준구 서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공저한 <경제학 원론>에는 “통화량 증가 원인이 재정 수요를 충당하는 데 있다면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과다한 재정 지출에 있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인플레이션은 화폐적 현상이라기보다 재정적 현상이라고 해야 옳을지 모른다”는 구절이 나온다.

인플레이션이라 함은 시중의 통화량 문제로 인해 발생된다고 알고있었다. 하지만 해당 기사를 읽어보며 생산성이 뒷밤침된 상황에서 통화량을 조절해야 원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통해 재정적 현상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군대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24년 4월 4일  (0) 2024.04.04
[경제] 24년 4월 3일  (0) 2024.04.03
[경제] 24년 4월 1일  (0) 2024.04.01
[경제] 24년 3월 20일  (0) 2024.03.20
[경제] 24년 3월 17일  (0) 2024.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