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117

[컴퓨터 구조] Chapter 15 파일시스템 파일과 디렉터리1) 파일파일이란 하드 디스크나 SS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 저장된 관련 정보의 집합을 의미한다. 모든 파일에는 이름과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 그리고 파일 관련 부가정보가 있다. 이러한 부가 정보를 속성 또는 메타데이터라고 부른다. 파일 속성과 유형파일 속성 중 파일 유형은 운영체제가 인식하는 파일 종류를 나타낸다. 파일 유형을 알리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식은 파일 이름 뒤에 붙는 확장자를 이용하는 것이다. 파일 연산을 위한 시스템 호출운영체제는 파일 연산을 위한 시스템 호출을 제공한다.파일 생성파일 삭제파일 열기파일 닫기파일 읽기파일 쓰기 2) 디렉터리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윈도 운영체제에서는 폴더라고 부른다. 이와 같은 디렉터리 구조를 1단계 디렉.. 2024. 1. 28.
[컴퓨터 구조] Chapter 14 가상 메모리 연속 메모리 할당1) 스와핑메모리에 적재된 프로세스들 중에는 현재 실행되지 않는 프로세스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임시 프로세스들을 임시로 보조기억장치 일부 영역으로 쫓아내고, 그렇게 해서 생긴 메모리상의 빈 공간에 또 다른 프로세스들을 적재하여 실행하는 방식을 스와핑이라고 한다. 이때 프로세스들이 쫒겨나는 보조기억장치의 일부 영역을 스왑영역이라고 하며, 실행되지 않는 프로세스가 메모리에서 스왑 영역으로 옮겨지는 것을 스왑아웃이라고 한다. 반대로 스왑 영역에 있던 프로세스가 다시 메모리로 옮겨오는 것을 스왑인이라고 한다. 스왑 아웃 되었던 프로세스가 다시 스왑인 될 때에는 스왑 아웃 되기 전의 물리주소와는 다른 주소에 적재될 수 있다. 2) 메모리 할당메모리 내에 빈 공간이 있다면 프로세스를 어떻게 배치.. 2024. 1. 25.
[자료구조] Chapter 15 백트래킹 백트래킹의 개요백트래킹은 문제의 해가 될 수 있는 후보를 찾고, 해가 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후보를 제거해 나가며 최종 해를 찾는 방법이다. 1) 백트래킹의 개념백트래킹은 여러 후보해 중 특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모든 해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미로의 한 지점에서 탈출구로 향하는 경로 속에는 여러 길목이 있는데 이들 각 길목에서 왼쪽으로 갈지 오른쪽으로 갈지 물음(부분문제)에 답(부분해)을 구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완성하는 것이 탈출로(해)이다. 이렇게 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부분해의 조합을 후보 해라고 한다. 탐색 규칙은 아래와 같다.갈림길이 나오면 무조건 왼쪽 길부터 들어간다.막다른 곳이 나오면 갈라진 길목으로 나와 그다음 길을 시도한다.목표 지점에 도달하거나 모든 경로를 탐색할 때까.. 2024. 1. 22.
[자료구조] Chapter 14 탐욕 알고리즘 탐욕 알고리즘의 개요탐욕 알고리즘은 최적화된 문제의 답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동작한다.해 선택: 현재 상태에서 부분 문제의 최적해를 구한 후 이를 부분 집합에 추가한다.실행 가능성 검사: 새로운 부분해 집합이 실행 가능한 것인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문제의 제약 조건을 위반하지 않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해 검사: 새로운 부분해 집합이 문제의 해가 되는지 확인한다. 아직 전체 문제의 해가 완성되지 않는다면 1의 해 선택부터 다시 한다. 거스름돈 줄이기 문제“어떻게 하면 손님에게 거스름돈으로 주는 지폐와 동전의 개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까?”해 선택: 가장 좋은 해를 선택하면 된다. 단위가 큰 동전으로만 거스름돈을 만들면 동전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현재 고를 수 있는 가장 .. 2024. 1. 18.
[자료구조] Chapter 13 동적 계획법 동적 계획법의 개요1) 동적 계획법의 개념동적 계획법이란 어떤 문제가 여러 단계의 반복되는 부분 문제로 이루어졌을 때, 각 단계에 있는 부분 문제의 답을 기반으로 전체 문제의 답을 구하는 방법이다. 분할 정복은 문제를 위에서 아래로 쪼개지만, 동적 계획은 제일 작은 부분 문제부터 상위에 있는 문제로 풀어올라간다. 동적 계획법은 분할 정복과 달리 한 번 푼 적 있는 부분 문제의 답을 다시 푸는 일이 없도록 테이블에 저장한다. 동적계획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문제를 부분 문제로 나눈다.가장 작은 부분 문제부터 해를 구한 뒤 테이블에 저장한다.테이블에 저장된 부분 문제의 해를 이용하여 점차적으로 상위 부분 문제의 최적해를 구한다. 이러한 동적계획법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문제가 최적 부분.. 2024.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