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삼성전자, 1Q 메모리 흑전 예상…HBM3E 3분기 출하 전망"-KB
"엔비디아 3~6개월간 박스권 갇힌다"
"엔비디아 3~6개월간 박스권 갇힌다", 뉴스
www.hankyung.com
1-1. 요약
- 엔비디아가 최근 이틀 연속 급락함.
- 월가의 투자회사 르네상스 매크로는 엔비디아 주가가 3~6개월 동안 박스권에 머물 것으로 예상함.
-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해 200%, 올해 70% 이상 상승했지만, AI 열풍이 이미 주가에 반영되어 단기 강세 가능성이 낮다고 분석함.
- 엔비디아 주가는 현재 857.74달러로 2% 급락한 상태임.
2. "M7 중 최고 저렴한 주식은 알파벳…"S&P500 대비 헐값 수준"
M7 중 최고 저렴한 주식은 알파벳…"S&P500 대비 헐값 수준"
M7 중 최고 저렴한 주식은 알파벳…"S&P500 대비 헐값 수준", 선행 PER M7 최저 S&P500지수 전체도 밑돌아
www.hankyung.com
2-1. 요약
- 마켓워치와 팩트셋 자료에 따르면, '매그니피센트 7'(M7) 중 알파벳의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이 19.7배로 가장 낮음. 이는 S&P500 지수 전체의 평균인 20.6배보다도 낮은 수치임.
- 현재 알파벳의 선행 PER은 M7 중 유일하게 20배 미만임. 다른 기업들의 선행 PER은 테슬라 55.3배, 아마존 39.4배, 엔비디아 34.1배, 마이크로소프트 31.3배, 애플 25.4배, 메타 23.5배임.
- 월가의 알파벳 목표주가 컨센서스는 164.60달러로, 향후 12개월 간 22%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 이는 테슬라,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보다 높은 상승 가능성임.
- 2025년까지 2년 간 알파벳의 매출과 EPS는 각각 연평균 11.7%, 36.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3. '클라우드 매출' 날았다…오라클, 시간 외 거래서 14% 급등
'클라우드 매출' 날았다…오라클, 시간 외 거래서 14% 급등
'클라우드 매출' 날았다…오라클, 시간 외 거래서 14% 급등, 오현우 기자, 경제
www.hankyung.com
3-1. 요약
- 오라클이 클라우드 매출 증가로 인한 깜짝 실적 발표 후 주가가 시간 외 거래에서 14% 급등함.
- 회계연도 3분기 순이익 24억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 대비 5억 달러 증가함.
- 클라우드 서비스 및 라이선스 지원 부문의 매출은 1년 전 대비 12% 증가한 99억 6000만 달러를 달성.
- AI 수요 증가로 인한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급증이 실적 개선의 배경.
- 신규 수주 및 수주 잔액 800억 달러로 월가 전망치를 크게 웃돌아, 앞으로도 성장세 지속 전망.
4. 로봇에 힘주는 삼성·LG…신성장동력 삼고 투자·연구 지속
로봇에 힘주는 삼성·LG…신성장동력 삼고 투자·연구 지속
로봇에 힘주는 삼성·LG…신성장동력 삼고 투자·연구 지속, 경제
www.hankyung.com
4-1. 요약
-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로봇 시장에 집중하여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투자 및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음.
-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에 800억 원 투자하여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분야에 집중, 상업용 로봇의 표준화를 주도할 계획임.
- 삼성전자는 로봇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보고 돌봄 로봇 및 가정용 로봇 개발에 주력, 최근에는 생성형 AI를 적용한 반려 로봇 '볼리'를 공개함.
- 두 회사 모두 AI와 첨단 기술을 로봇 개발에 적극 활용하여 로봇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임.
5. CPI에 증시 향방 달렸다...JP모간 "증시 2% 급등 가능성"
CPI에 증시 향방 달렸다...JP모간 "증시 2% 급등 가능성"
CPI에 증시 향방 달렸다...JP모간 "증시 2% 급등 가능성", 뉴스
www.hankyung.com
5-1. 요약
-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전 JP모간이 제시한 5가지 증시 시나리오 중 첫 번째는 CPI가 전월 대비 0.2%~0.3% 오르는 경우로, 이 시나리오가 발생하면 S&P500 지수가 0.25%~0.75% 상승할 것으로 예상함.
- 두 번째 시나리오는 CPI가 전월 대비 0.3%~0.4% 오르는 경우로, 이 경우 S&P500 지수가 0.5%~1% 하락할 것으로 예상함.
- 세 번째 시나리오는 CPI가 0.1%~0.2%로 집계되는 경우로, S&P500 지수가 1%~1.5% 오를 것으로 예상함.
- 네 번째 시나리오는 CPI가 0.4%를 웃도는 경우로, S&P500 지수가 1.75%~2.25% 급락할 것으로 예상함.
- 마지막 시나리오는 CPI가 0.1%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로, S&P500 지수가 1.5%~2% 급등할 것으로 예상함
6. "경제학자 3분의 2, 연준 6월에 금리인하 시작 예상"
"경제학자 3분의 2, 연준 6월에 금리인하 시작 예상"
"경제학자 3분의 2, 연준 6월에 금리인하 시작 예상", 경제
www.hankyung.com
6-1. 요약
- 로이터 설문조사에서 경제학자 3분의 2가 연준이 6월에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함.
- 인플레이션 완화와 경제성장 둔화가 금리 인하의 주요 이유로 꼽힘.
- 일부는 9월 또는 그 이후 금리 인하를 예상하면서 연준의 정책 전환 시점에 대한 의견이 분분함.
- 설문조사에 참여한 경제학자들은 금리 인하 시기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함.
'군대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24년 3월 15일 (1) | 2024.03.15 |
---|---|
[경제] 24년 3월 14일 (2) | 2024.03.14 |
[경제] 24년 3월 12일 (1) | 2024.03.12 |
[경제] 24년 3월 11일 (1) | 2024.03.11 |
[경제] 24년 3월 10일 (1) | 2024.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