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PS60 [PS] 12918. 문자열 다루기 기본 1) 문제: 12918. 문자열 다루기 기본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제한사항s는 길이 1 이상, 길이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s는 영문 알파벳 대소문자 또는 0부터 9까지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입출력 예 설명s return"a234"false"1234"true 2) 나의 첫 풀이기본 값은 true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조건을 만족하면 true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하면 된다. 문자열 s의 길이는 4혹은 6이어야 하며, 숫자로만 구성되어야 하기에 문자열의 길이가 4 혹은 6인지 먼저 확인하고, 추후에 코드를 .. 2023. 12. 3. [PS] 12917. 문자열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1) 문제: 12917. 문자열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문자열 s에 나타나는 문자를 큰것부터 작은 순으로 정렬해 새로운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s는 영문 대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대문자는 소문자보다 작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제한사항• str은 길이 1 이상인 문자열입니다.입출력 예 설명s return"Zbcdefg""gfedcbZ" 2) 나의 첫 풀이아스키코드값을 활용하여 크기를 구하자.return은 크기가 작은 순으로 나열할 수 있어야 한다.strlen을 활용해 문자열을 복사하고 재배열한 값을 넣어준다.char* solution(const char* s) { char* answer = (char*)malloc(s+1); strcpy(answer, s); return.. 2023. 12. 2. [PS] 77884. 약수의 개수와 덧셈 1) 문제: 77884. 약수의 개수와 덧셈 두 정수 left와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left부터 right까지의 모든 수들 중에서, 약수의 개수가 짝수인 수는 더하고,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수는 뺀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 ≤ left ≤ right ≤ 1,000입출력 예 설명left right result131743242752 2) 나의 첫 풀이몫을 구하는 연산을 통해 변수에 저장하는 방향으로 풀이를 정했다.int solution(int left, int right) { int left_answer = 0; int right_answer = 0; for(int i=0; i 2023. 11. 29. [PS] 12922. 수박수박수박수박수박수? 1) 문제: 12922. 수박수박수박수박수박수? 길이가 n이고, "수박수박수박수...."와 같은 패턴을 유지하는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n이 4이면 "수박수박"을 리턴하고 3이라면 "수박수"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사항• n은 길이 1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입출력 예 설명n return3"수박수"4"수박수박" 2) 나의 첫 풀이짝수일땐 수로 시작해서 박으로 끝나고, 홀수일 땐 수로 시작해서 수로 끝난다… n을 입력하면 strlen이 n이 되면 되고, 수와 박을 번갈아가며 출력하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을 것 같다.#include #include #include char* solution(int n) { // 리턴할 값은 메모리를 동적 할당해주세요. cha.. 2023. 11. 28. [PS] 12903.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1) 문제: 12903.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단어 s의 가운데 글자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만들어 보세요. 단어의 길이가 짝수라면 가운데 두 글자를 반환하면 됩니다. 제한사항단어 s의 가운데 글자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만들어 보세요. 단어의 길이가 짝수라면 가운데 두글자를 반환하면 됩니다.입출력 예 설명s return"abcde""c""qwer""we" 2) 나의 첫 풀이strlen을 활용해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것이다. 문자열의 길이가 짝수인 경우와 홀수인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짝수인 경우 전체 문자열의 길이를 2로 나누고 그 앞의 값과 2로 나눈 값, 그리고 null값의 부분까지 해서 3개를 결괏값으로 낼 것이다. 반면 홀수인 경우 2로 나눈 값과 null 값만 해서 2.. 2023. 11. 25.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