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Python

[Python] 군대에서 공부하기 Week3

by BrickSky 2023. 10. 8.

🗓️  23.10.02

- 반복문

구문을 반복해서 실핼할 수 있게 하는 문법이다.
반복문은 크게 2가지가 있다.

1) while문

while 여기 적힌 조건이 충족하면:
      들여쓰기 된 코드들이 실행됩니다. 

이렇게 확인할 수 있다.


2) for문

for 변수 in 리스트(또는 문자열, 튜플):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 while문과 for문 비교


- 반복문을 강제로 종료하고 싶다면: break

위의 코드에서 보면, 숫자 자료형 candy를 문자 자료형으로 바꿔주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 따라서! str()을 통해 숫자 자료형을 문자 자료형으로 바꾼 것을 알 수 있다.

*str 은 string를 줄인 것이다.

- 범위를 표현할 땐: range


응용


퀴즈: 리스트 반복문

 

 

🗓️ 23.10.03
- 더 복잡한 자료를 돌아가며 반복하기

리스트-딕셔너리


- 요약

• 반복되는 코드를 일일이 적지 않아도 반복문을 통해 간결하게 표현이 가능하다.
• while은 조건이 참일 때 코드를 반복한다.
• for문은 리스트에 들어있는 값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반복한다.
• 반복문을 제어하는 방법에는 break, continue 등이 있다.
• rangel)를 이용해서 n부터 m전까지의 숫자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만들 수 있는데, for문과 함께 이용하면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을 시킬 수 있다.



- 문제: 변수 선언과 재할당

 

- 문제: 숫자와 문자 자료형

 

- 문제

 

🗓️ 23.10.04

- 퀴즈

 

- 퀴즈: 리스트 자료형

 

- 퀴즈: .join()

 

- 퀴즈: .append()

 

- 퀴즈: 딕셔너리 자료형



🗓️ 23.10.05

- 퀴즈

 

- append()

 

- for 대상 in 리스트

 

- 리스트의 길이: len() length를 줄인..

 

🗓️ 23.10.06

- 퀴즈: 조건문

 

- 퀴즈: in 메서드()

 

- 퀴즈: 반복문 + len()

 

- 퀴즈: 반복문

 

- 퀴즈: 반복문

 

🗓️ 23.10.07

- 심화퀴즈: digit을 활용해서

배울 내용이 많다.
1) digit()을 활용해 숫자인지 아닌지 값을 확인할 수 있다.
2) int()를 통해 숫자 형식으로 값을 가져올 수 있다.
3) 배열의 인덱스값과 실제 값을 비교할 수 있다.


- 조건문과 반복문

위의 코드에서 str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str이란!!??
str은 파이썬의 내장 함수로, 숫자나 다른 데이터 유형을 문자열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이 코드에서는 number 변수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문자열과 다른 문자열을 결합하는 데 사용되었다. 즉, str(number)는 number 변수의 값을 문자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 것이다.


- 퀴즈

Q. 반복문 내부에 변수를 두지 않고 밖에 두는 이유는?
A. 내부에 두면 반복이 돌 때마다 값이 변하기 때문에!

 

- 퀴즈: f-string


f-string이 뭐야?
f-string은 파이썬 3.6부터 도입된 문자열 포맷팅 방식 중 하나이다. f-string은 문자열 내부에 변수나 표현식 값을 삽입할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f-string은 문자열 앞에 'f' 또는 'F' 접두사를 붙이고 중괄호 {} 안에 변수나 표현식을 넣어서 사용한다.

name = "Alice"
age = 30
message = f"My name is {name} and I am {age} years old."

위 코드에서 f"My name is {name} and I am {age} years old." 부분은 f-string을 사용한 예이다. 중괄호 안에 있는 변수 name과 age의 값이 문자열에 삽입됩니다. 이를 통해 변수를 문자열에 간단하게 포맷팅 할 수 있습니다.

이해가 안 된다!!!!
이해가 되었다.. 변수 편하게 쓸려고 맨 앞뒤에 f " " 하면 끝

 



🗓️ 23.10.08
- 함수의 의미와 함수화의 뜻

함수란 특정한 기능을 따로 분리해 놓은 것이다.
def 함수 이름 (매개변수)
매개변수란, 함수가 호출될 때 전달되는 값을 받는 변수이다. 함수에 필요한 입력값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곱을 구하는 함수를 만들면
** 문법을 몰라도 어떤 결과가 나올지 알 수 있다.
def square_of_number (a):
       return a ** 2
result - square_of_number (5)
print (result)  
출력: 25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
def get_string_length(string) :
       return len(string)
length - get_string._ length("안녕하세요, 세상")
print(length)  
출력: 16

 

- 함수 안에 매개변수 사용하기

 

 

- 함수 안에 반복문 사용하기

 




슬슬 재밌어지고 있다. 단순한 배열과 반복문 퀴즈를 풀 때와 달리 여러 메서드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f-string는 평소 불편함을 느끼던 부분이라 그런지 아주 재밌게 배울 수 있었다.

이번주에는 2번의 경검과 동반근무가 끝나는 마지막 주차였기에 마음 편히 공부를 할 수는 없었다. 하루에 강의를 들을 시간조차 부족할 만큼 근무에 정신이 없었다. 평일엔 야간 공부 연등을 신청해서 근무와 관련된 공부를 하느라 지친 일주일이었다. 오늘 시간 여유가 생겨 목표한 강의를 다 들을 수 있었다. 계획대로 된다면 11월부터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 수 있을 것 같다. 파이팅!